겨울에서 봄으로 건강하게 넘어가기
페이지 정보

본문
겨울에서 봄으로 건강하게 넘어가기
늦겨울 매서운 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곧 찾아올 봄에 대한 기대가 추위를 견디게 해 주는 계절이다. 일 년의 봄 여름 가을 겨울은 하루의 아침 점심 저녁 밤과 비슷하다. 밤의 시간대가 겨울이며, 아침이 봄이라 할 수 있다. 밤은 내일을 위한 휴식의 시간이며, 겨울 또한 다음 한 해를 준비하는 계절이라 볼 수 있다.
한의학적으로 겨울은 음양 중 음의 에너지가 가장 강한 계절이다. 따라서 날씨도 춥고, 움직이지 않으며, 움츠러드는 기운이 강하다. 그러나 음양은 항상 함께 있는 법이며, 태극의 모양처럼 음이 가장 강한 곳이 바로 양이 시작되는 곳이다. 따라서 겨울의 추위는 그저 의미 없는 추위가 아닌, 봄에 터져 나올 양기를 준비하는 추위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리 건강에 있어 겨울은 어떤 계절일까? 당연히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바람이 많이 불기에 우리 건강에 좋은 환경이 아니다. 감기나 독감, 폐렴, 축농증 등이 발생하기 쉬운 계절인 것이다.
그렇기에 더더욱 겨울은 충분한 휴식과 절제, 면역력 보충 등이 필요한 계절이다. 겨울 동안 큰 병에 앓았거나, 체력을 과도하게 소모했거나, 스트레스를 크게 받은 이들은 봄철에 여러 가지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어떤 증상들이 있을까? 봄철에는 기온도 높아지며, 양기가 많아지는데 내 몸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만성피로(춘곤증), 우울감, 알레르기비염 등의 증상이 발생 될 수 있다.
물론 이런 증상들은 증상이 나타났을 때 제때 치료하면 괜찮을 수 있지만, 매년 봄마다 이런 증상들로 고생하는 이들의 경우 겨울철부터 미리미리 다음해 봄을 준비하는 습관이 필요할 것이다.
알레르기비염에 대해 알아보면, 알레르기비염의 증상은 재채기, 콧물, 코막힘, 가려움 등의 증상이 갑자기 심해지기를 반복한다. 한의학에서는 이렇게 갑자기 심해지는 증상의 원인을 풍사(風邪)라 하는데, 말 그대로 바람이다.
물리적으로는 꽃가루나 먼지, 진드기, 동물 털 등의 항원이 코점막을 자극하여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발생하지만, 사람에 따라 같은 자극에도 증상이 달라지는 것은 개개인의 체질이나 몸 상태가 다르기 때문이며, 이는 한의학적으로 풍사에 대항하는 힘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봄철 알레르기비염 증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항원에 대한 차단(마스크 착용, 실내 위생관리 및 환기, 외출 자제 등)과 함께 풍사에 대항하기 위해 폐를 따뜻하게 하는 치료(한약 복용 및 침뜸치료 등)가 필요하며, 특히 봄철에 기온이 조금 높아졌다고 해서 반팔을 입거나, 옷을 얇게 입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심할 때 우리는 주로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게 된다. 히스타민은 우리 몸에서 부교감신경이 항진되었을 때 분비되는 물질로서, 알레르기반응을 유도하여 여러 증상을 발생시킨다. 이 히스타민을 억제하는 것이 항히스타민제인데, 증상이 빠르게 완화되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복용하고 있다.
다만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는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되는데 항히스타민제의 과도한 사용은 이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알레르기비염 증상의 반복, 약 복용중 무기력, 졸림 등의 증상이 있는 이들의 경우 한의학적 치료를 시도해 보는 것도 좋다.
< 숨쉬는한의원 천안점 한재환 원장님 >
- 다음글독감 이후 흔히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과 예방 요령 25.03.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